위 정책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정책 아카이브에서 출처한 내용입니다.
이 카테고리는 공공 데이터 이용정책으로 고객사의 정부정책 및 지원사업을 활성화의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고번호 신청기간 ~
담당부처/부서 중소벤처기업 등록일 2023-01-16
제목 중동 국부펀드의 투자 성향과 국내 벤처투자 유치 가능성 진단
첨부파일

[포커스 22-18호] 중동 국부펀드의 투자 성향과 국내 벤처투자 유치 가능성 진단(이유진 장윤섭 등)(최종)_1410.pdf

원문보기 중소벤처기업연구원
https://www.kosi.re.kr/kosbiWar/front/functionDisplay?menuFrontNo=3&menuFrontURL=front/focusDetail?dataSequence=J230116K01

■ 글로벌 경기침체로 국내외 벤처투자 규모가 크게 축소
•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지속 등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글로벌 벤처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
• 연일 상승세를 이어오던 국내 스타트업·벤처 투자 역시 글로벌 벤처투자의 위축과 함께 감소

■ 정부는 국내 벤처투자의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방안으로 ‘중동 국부펀드’를 주목
• 중소벤처기업부는 그동안 미국, 아시아 중심으로 운영된 해외 벤처 네트워크를 중동, 유럽 등으로 다변화하고 글로벌 펀드를 확대 조성한다는 계획을 발표
• 특히 새로운 벤처투자 유치방안으로 중동을 주목하고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중동 국가와의 투자 협력 방안을 다방면으로 모색 중

■ 주요 중동 국부펀드의 투자 성향과 국내 유망 스타트업과의 적합도를 진단하여 실현가능한 투자 유치 방향을 마련할 필요
• 중동 국부펀드가 주목하는 투자대상국·산업·벤처투자의 투자 단계를 살펴보고, 정부가 육성 중인 아기·예비 유니콘 기업의 특성과 비교·분석     
•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 스타트업에 중동 국부펀드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과제 제시
■ 중동의 국부펀드는 소비기반 플랫폼, 바이오/헬스케어, 핀테크에 집중하고, 투자 단계는 Series C 이후의 후기 단계를 선호
• (산업 분야) 소비기반 플랫폼, 바이오/헬스케어, 핀테크에 집중
- (소비기반 플랫폼) 내수시장이 큰 ‘인도’, 중동이 경제적 동맹관계 구축을 위해 다수의 벤처 협약을 체결한 ‘터키’, 그 밖에 영미권 국가를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
- (바이오/헬스, 핀테크) 주로 해당 산업분야 기술 선도국인 영미권과 유럽에 집중 투자
• (투자 단계) 중동 국부펀드는 Pre-IPO 단계에서의 투자를 선호

■ 한국은 중동 국부펀드의 관심 투자 분야인 소비기반 플랫폼, 바이오/헬스케어에 강점이 있으며, 이 중 바이오/헬스케어가 높은 투자 적합도를 보유
• 정부가 K-유니콘 프로젝트를 통해 육성 중인 아기·예비 유니콘기업의 산업 분포는 중동 국부펀드의 관심 분야와 유사
- 한국도 소비기반 플랫폼, 바이오/헬스케어 등에 다수의 아기·예비 유니콘 기업이 존재
• Pre-IPO 단계에서의 투자를 선호하는 중동 국부펀드의 투자 성향을 고려할 때 Series C~E+단계에 있는 예비 유니콘 기업이 투자대상으로 가장 적합 
• 바이오/헬스케어의 경우, 아기 유니콘기업과 예비 유니콘기업 모두 투자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분야
• 소비기반 플랫폼의 경우, 예비 유니콘기업이 내수시장 중심이라는 점과 한국의 작은 내수시장 규모를 고려할 때 중동 국부펀드의 관심도에 한계가 존재

■ 제언 1: 단기 성과를 위해서 K-바이오/헬스케어에 집중
• 바이오/헬스케어 분야는 중동의 투자 성향과 국내 유망스타트업의 특성과 가장 잘 매칭되는 분야 
- 중동은 바이오/헬스 분야에 상대적으로 초기 단계부터 투자하는 성향을 보이며, 한국의 병원시스템, 의료기기·바이오 의약품의 중동 진출 확대로 한국 바이오/헬스케어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 따라서 단기적으로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투자 유치를 집중 공략하고 중동의 투자 성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다른 분야까지 투자유치를 확대  
■ 제언 2: 본 글로벌(Born-Global) 소비기반 플랫폼 유니콘 육성
• 중동 국부펀드는 거대 소비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소비기반 플랫폼을 선호하나, 한국 스타트업의 소비기반 플랫폼 대부분은 시장 규모가 제한적인 내수 기반임.
• 따라서 글로벌 소비시장이 큰 인도, 동남아, 중앙아시아 등을 목표로 한 소비 기반 플랫폼 기업을 창업 초기 단계부터 집중 육성 필요
- ‘초격차 스타트업 1,000개’ 선정에서 ‘Born-Global’에 가점을 부여하거나 중동 국부펀드 전용 기업을 별도로 선정하는 방안 등
• 정부가 중동 국부펀드와 조인트 벤처를 조성해 중동의 투자 리스크를 분담

■ 제언 3: 인적·문화적 네트워킹과 정례적 투자 정보 제공
• 중동 국부펀드의 한국 투자 제약 요인은 정보 부족과 문화 및 종교 차이로 인한 심리적 거리감, 의사소통 불편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
• 따라서 정부는 민관 협력에 기초해 한국·중동 투자 컨퍼런스를 통해 기업간 인적, 문화적 교류를 정례화
• 중동은 펀드별로 투자 업종이나 투자 단계에 대한 선호도가 상이하고 한국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정보가 부족한바, 중동 국부펀드별 투자 성향을 고려한 매칭 정보 제공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