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정책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정책 아카이브에서 출처한 내용입니다.
이 카테고리는 공공 데이터 이용정책으로 고객사의 정부정책 및 지원사업을 활성화의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고번호 신청기간 ~
담당부처/부서 중소벤처기업 등록일 2023-01-31
제목 저성장시대, 여성벤처기업의 희망과 과제
첨부파일

[포커스 22-20호] 저성장시대 여성벤처기업의 희망과 과제_1449.pdf

원문보기 중소벤처기업연구원
https://www.kosi.re.kr/kosbiWar/front/functionDisplay?menuFrontNo=3&menuFrontURL=front/focusDetail?dataSequence=J230131K02

■ 저출산·고령화 시대, 미래 성장동력 창출과 세계 선도국가로 도약을 위해서는 여성 인적자원 활용이 필수    
•  이에 본 고에서는 여성 인적자본 중 여성벤처기업을 중심으로 남성벤처기업과 차별되는 특성 탐색을 통해 여성벤처기업의 희망적 요소를 살펴보고 발전 방안을 모색함 

■  우리나라 벤처생태계는 그간 양적·질적 발전이 있었으나, 여러 주체가 참여하는 다양성은 결여
•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여성 자원의 강점이 발휘될 수 있는 기술 및 산업 환경이 도래
•  여성의 경제 활동과 고학력자 증가로 직장 경험과 전문지식을 보유한 우수 여성 인력이 다수 배출됨으로써, 국가 차원에서 여성 인적자원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여성벤처기업의 촉진 환경조성 필요  

■ 여성벤처기업의 현황 및 특성  
•  ’20년 기준 여성벤처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28.4억 원으로 전체 벤처기업 (52.9억) 대비 53.7% 수준이며, 평균 고용 규모는 14.3명 수준임 
•  우리나라 기술기반 업종 창업기업 중 41.4%가 여성기업으로 계속해서 그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벤처확인기업도 전체 벤처기업의 10.7%로 크게 증가
•  고학력 여성인력의 벤처 진입이 증가하고 있고, 남성벤처기업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R&D인력 보유기업 비중, 기술 수준과 미래 사업 전망에 대한 높은 자신감, 시설 현대화에 대한 적극적 마인드 등은 우리 경제의 경쟁력 제고에 희망적 요소로 평가 
•  다만, 여성벤처기업의 경우 아직 수적으로 적을 뿐만 아니라 기업 규모 측면에서 열세이고, 해외 수출과 연구인력의 조직화 정도가 미흡하며 낮은 투자유치와 다양하지 못한 자금조달처 등은 한계점으로 작용 

■ (제언 1) 여성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한 환경조성 및 기반 구축 방안 
•  그간 여성벤처기업 관련 체계적인 자료 축적과 학문적 접근이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 여성벤처기업 관련 조사·연구 활성화 필요
•  여성벤처기업의 창업 촉진을 위해 혁신형 여성 창업이 어디서 많이 일어나는지 철저한 분석과 모니터링을 통해 정책 대상(Target)을 명확히 설정하여 정책 추진  
•  해외 여성 기술창업 모니터링을 통한 정보 전달 및 사회적 난제 해법 공모 활성화로 범사회적 기술기반 창업의식 및 기업가정신 고취 필요 

■ (제언 2) 여성벤처기업 역량 강화 지원 방안 
•  여성벤처기업의 특성 및 경영애로 사항 등에 관한 종합적 검토를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실효성 높은 지원책 마련을 통한 질적 접근이 필요 
•  여성벤처기업의 사업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 및 컨설팅을 강화하고, 대중소기업 간 거래 시에는 상생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공급망 체계 내에서 비즈니스 역량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적 접근이 필요
•  여성벤처기업의 투자 유치 및 회수(EXIT)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훈련은 물론 관련 기관과의 적극적인 매칭 기회를 높이고, 여성벤처기업 투자자에게는 세제 지원 등의 정부 지원 방안도 검토될 필요성이 있음   
•  이외 세부적으로 여성벤처기업의 시설 현대화와, R&D 인력의 조직화, 산업재산권에 대한 법률 서비스 등의 적극 지원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