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정책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정책 아카이브에서 출처한 내용입니다.
이 카테고리는 공공 데이터 이용정책으로 고객사의 정부정책 및 지원사업을 활성화의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고번호 신청기간 ~
담당부처/부서 중소벤처기업연구원 등록일 2025-03-14
제목 중소기업 고용 동향 분석과 시사점
첨부파일

[보고서 원문] 중소기업 고용 동향 분석과 시사점_KOSI 중소기업 이슈앤포커스 2호_1046.pdf

원문보기 중소벤처기업연구원
https://www.kosi.re.kr/kosbiWar/front/functionDisplay?menuFrontNo=32242391922770...

< 필요성 및 목적 >
 • 우리나라의 2025년도 경제 성장률은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 
 •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은 2024년 4분기 이후 크게 악화 
 • 경기 둔화와 경제심리 위축에 따라 기업들이 채용 규모를 축소할 가능성 존재
 • 본 보고서는 중소기업 관점에서 최근 10년간 고용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2025년도 고용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 중소기업 고용 실적 >
 •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는 2,543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89.0%를 차지
 • 중소기업의 50세 이상 고령 취업자 비중(48.6%*)은 대기업(26.4%) 대비 22.2%p 높으며, 최근 10년간 10.6%p 증가
 • 대졸 이상 비중은 중소기업(34.3%)이 대기업(66.3%) 대비 32.0%p 낮은 수준
 • 중소기업 연구원 수는 21.5만명(’22)에서 20.2만명(’24)으로 ’23년부터 감소  

< 중소기업 고용 전망 >
 • 기업 규모와 성장잠재력 등을 고려했을 때 중소기업의 28.9%*가 인력이 부족 하다고 응답했으며, 많다는 대답은 3.2%에 불과했음
 • 2025년도 인력수급 환경에 대해 중소기업의 24.4%가 작년 대비 악화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개선될 것이라는 대답은 3.6%에 그쳤음
 • 중소기업의 44.4%*는 2025년도 채용계획이 없거나 전년 대비 채용을 축소하겠다고 응답

< 시사점 >
 • 임금근로자는 중소기업 비중이 감소하고,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높은 수준
   ⇒ (과제) 중소기업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 시 고용장려금 지원 확대, 비임금근로자의 임금근로자로의 재취업 지원 강화 
 • 중소기업의 채용 계획이 부정적이고, 근로자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전 
   ⇒ (과제) 중소기업 청년 채용 활성화, 중소기업 청년 근로자의 경력단절 방지 지원 강화, 고령자 고용 확대를 위한 중소기업의 선제 대응 지원, 중소기업 재직자의 정년 이후 계속 
                  고용 활성화 
 • 중소기업은 고학력 취업자 비중이 낮고, 전문인력 활용에 어려움 존재 
   ⇒ (과제) 직업계고를 졸업한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한 후학습 지원 강화, 중소기업의 전문인력 채용 활성화 
 • 경기 침체 국면에서 종사자 규모별 격차가 확대되는 추세 
   ⇒ (과제) 대-중소기업 상생일자리 프로그램 확대, 중소기업 경영성과급 세액 공제율 상향 조정, 벤처기업 임직원의 성과조건부 주식에 대한 과세특례 부여, 중소기업 복지 플랫폼 지원 예산 
                  편성 및 대기업 플랫폼과의 연계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