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정책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정책 아카이브에서 출처한 내용입니다.
이 카테고리는 공공 데이터 이용정책으로 고객사의 정부정책 및 지원사업을 활성화의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고번호 신청기간 ~
담당부처/부서 중소벤처기업부 등록일 2023-05-04
제목 2023년 동행축제, 전통시장과 함께하면 대박
첨부파일

230505_2023_동행축제_전통시장_및_상점가_참여(전통시장과)_0943.pdf

230505_2023_동행축제_전통시장_및_상점가_참여(전통시장과)._0943.hwpx

원문보기 중소벤처기업부
https://www.mss.go.kr/site/smba/ex/bbs/View.do?cbIdx=86&bcIdx=1041410&parentSeq=...

2023년 동행축제, 전통시장과 함께하면 대박

- 전국 1,800여개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 5.9(화)부터 5.15(월)까지 진행

- 경품 추첨 및 온라인 주문 시 무료 배송 등 풍성한 혜택과 전통시장 봄축제 발굴 등 고객 참여형 이벤트 진행


2023 동행축제, 전통시장과 함께하면 대박
- 전국 1,800여개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 5.9(화)부터 5.15(월)까지 진행

- 경품 추첨 및 온라인 주문 시 무료 배송 등 풍성한 혜택과
전통시장 봄축제 발굴 등 고객 참여형 행사(이벤트) 진행

023 동행축제에 전국 1,800여개 전통시장 및 상점가(이하 전통시장)도 5.9(화)부터 5.15(월)까지 7일간 참여한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는 동행축제가 ‘온 국민, 힘 모으기!’ 운동(캠페인)이 될 수 있도록 전국 모든 전통시장이 참여하여 소비자들의 구매를 이끌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준비하였다.
 
전통시장에서 진행하는 `2023 동행축제`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 대박나는 전통시장 경품행사(이벤트) >
 
참여 기간 내내 ‘전통시장과 가정의 달을 연상시키는 제시어’*의 끝말이 포함된 전통시장 상품을 구매한 고객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매일 100명씩 총 700명에게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고,
 
* 제시어: `전통시`, `상점`, `가`, `행`, `어린`, `선`, `감`
 
** 예를 들어 제시어가 `전통시`일 경우 상품의 첫 글자가 장인 장어, 장갑 등 구매
 
축제 기간 전통시장을 5회 이상 이용한 단골 고객과 전통시장 대표 품목*으로 만들어진 빙고판을 완성하는 고객에게 추첨을 통해 경품을 지급하는 행사(이벤트)도 마련하였다.
 
* 대표품목(9) : 과일, 육류, 분식, 채소, 생선, 잡화, 생필품, 곡류, 반찬
 
< 5월은 가족과 함께 봄 나들이 갑시다 >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전통시장 방문 후 인근 관광명소에 가족과 함께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총 200명에게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고,
 
전통시장에서 진행하는 봄 축제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홍보하는 고객들을 위한 소정의 선물도 준비하였다.
 
< 온라인 : 나는 집에서 쉽고 간편하게 장본다 >
 
전통시장을 방문하기 어려운 고객들을 위한 온라인 행사(이벤트)도 진행한다. 온라인 장보기 거래터(플랫폼) 이용고객에게 무료 배송(1만원 이상 구매시) 및 경품 추첨(3만원 이상 구매시)을 실시한다.
 
한편, 전통시장을 찾는 고객들이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축제 기간 온누리상품권 할인구매 한도를 확대한다.

<온누리상품권 할인구매 한도>
구 분 현 행 확 대
지류형 ▸(구매한도) 50만원
▸(할 인 율) 5%
(구매한도) 100만원
▸(할 인 율) 5%
충전식
카드형
▸(구매한도) 100만원
▸(할 인 율) 10%
(구매한도) 150만원
(할 인 율) 10%

 동행축제를 즐기는 자세한 방법은 행사(이벤트) 누리집 시장애(www.sijangae.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전국 300여 전통시장의 노래자랑, 공연, 경품추첨, 어린이 그림그리기 대회 등 자체 행사(이벤트)도 참여할 수 있다.
 
이영 장관은 “올해로 4회째를 맞는 대한민국 동행축제를 맞이하여 전통시장도 고객들을 위해 다양한 행사(이벤트)를 준비한 만큼, 전통시장을 많이 찾아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전통시장과 장수환 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